FC 우니레아 우르지체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FC 우니레아 우르지체니는 루마니아의 축구 클럽으로, 1954년에 창단되어 여러 차례 명칭 변경을 거쳐 2011년 부채로 인해 해체되었다. 하위 리그에서 활동하다가 2002-03 시즌에 리가 II로 승격되었고, 2005-06 시즌에는 리가 I으로 승격하며 전성기를 맞이했다. 단 페트레스쿠 감독의 지휘 아래 2008-09 시즌에 리가 I에서 우승을 차지하며 UEFA 챔피언스리그에 진출했고, 2009-10 시즌에는 유로파리그에서도 활약했다. 그러나 재정난으로 인해 주축 선수들이 이탈하고 2010-11 시즌에 2부 리그로 강등된 후, 2011년에 결국 해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루마니아의 없어진 축구단 - FC 바슬루이
FC 바슬루이는 루마니아 바슬루이를 연고로 2002년 창단하여 빠르게 성장했지만, 2014년 재정난으로 해체되었고 현재는 팬들이 주축이 되어 스포르팅 바슬루이로 명맥을 이어가고 있는 축구 클럽이다. - 루마니아의 없어진 축구단 - FC 스포르툴 스투덴체스크 부쿠레슈티
FC 스포르툴 스투덴체스크 부쿠레슈티는 루마니아 부쿠레슈티 연고의 축구 클럽으로, 1916년 창단하여 발칸 컵 우승, UEFA 컵 진출 등 전성기를 누렸고 게오르게 하지 같은 스타 선수들을 배출했으며, 흑백의 팀 색상을 갖고 리가 I 준우승, 리가 II 우승 등의 성적을 거두었다. - 2011년 해체된 축구단 - 삼척 신우전자 축구단
삼척 신우전자 축구단은 1999년 창단되어 K2리그에 참가했던 강원도 삼척시 연고의 축구단으로, K3리그에서 2년 연속 준우승을 하기도 했다. - 2011년 해체된 축구단 - UE 례이다
UE 례이다는 스페인의 축구 클럽으로, 1993-94시즌 라리가에 진출하는 등 전성기를 누렸으나 재정난으로 청산 후 레이다 에스포르티우로 재창단되었다. - 1954년 설립된 축구단 - 동북고등학교 축구부
동북고등학교 축구부는 서울 강동구 동북고등학교 소속으로, 전국 고교 축구대회에서 14회 우승, 고교클럽 챌린지리그 1회 우승을 기록했으며 이회택, 홍명보, 김은중, 손흥민 등 국가대표 선수들을 배출했다. - 1954년 설립된 축구단 - FC 발티카 칼리닌그라드
FC 발티카 칼리닌그라드는 1954년 창단되어 피셰비크 칼리닌그라드에서 발티카로 명칭을 변경한 러시아 축구 클럽으로,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와 1부 리그를 오가며 2024년 러시아 컵 준우승을 기록했고 칼리닌그라드 스타디움을 홈 구장으로 사용한다.
FC 우니레아 우르지체니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별칭 | "이알로미차의 첼시" (Chelsea de Ialomița) "우르지체니의 첼시" (Chelsea de Urziceni) "버러건의 늑대들" (Lupii din Bărăgan) |
공식 명칭 | 포트발 클루브 우니레아 볼룬타리 우르지체니 (Fotbal Club Unirea Voluntari Urziceni) |
약칭 | 우니레아 |
창단 | 1954년 (아우로라 우르지체니) |
해체 | 2011년 |
홈 경기장 | 티네레툴루이 경기장 |
수용 인원 | 7,000명 |
소유주 | 우르지체니 시 |
감독 | 단 페트레스쿠 |
클럽 색상 | |
메인 색상 | 하늘색과 파란색 |
보조 색상 | 노란색 |
2. 역사
우니레아 우르지체니는 1954년 창단 이후 여러 차례 구단 명칭을 변경했다. 다음은 구단 명칭 변경 내역이다.
이름 | 기간 |
---|---|
아우로라 우르지체니(Aurora Urziceni) | 1954–1974 |
아반툴 우르지체니(Avântul Urziceni) | 1975–1979 |
페롬 우르지체니(Ferom Urziceni) | 1979–1984 |
우니레아 우르지체니(Unirea Urziceni) | 1984–1999 |
아그리쿨토룰 우르지체니(Agricultorul Urziceni) | 1999–2001 |
우니레아 우르지체니(Unirea Urziceni) | 2001–2011 |
도미트루 부크샤르 회장 지휘 아래 급성장을 거듭하여 2006-07 시즌부터 리가 I으로 승격했다. 단 페트레스쿠 감독은 효과적인 선수 보강과 팀 구성을 통해 2007-08 시즌 루마니아 컵에서 준우승을 차지하고 UEFA컵 출전권을 획득했다.[2] 2008-09 시즌에는 UEFA컵에 처음 출전했지만 1라운드에서 독일의 함부르크 SV에 패했다. 같은 시즌 리가 I에서 첫 우승을 차지했다.
홈 구장인 티네레투룰 스타디움이 UEFA 챔피언스리그 기준을 충족하지 못해 2009-10 시즌 챔피언스리그 경기는 스테아우아 스타디움을 임대하여 진행되었다. 스페인의 세비야 FC, 독일의 VfB 슈투트가르트, 스코틀랜드의 레인저스 FC와 같은 조에 편성되어 좋은 성적을 거두며 UEFA 유로파리그 출전권을 획득했다.[2] 이후 페트레스쿠 감독이 사임하고, 유로파리그에서는 리버풀 FC에 패했다.
2009-10 시즌을 2위로 마쳤지만, 클럽은 심각한 재정난에 시달렸고, 주력 선수 대부분이 FC 스테아우아 부쿠레슈티로 이적했다. 2010-11 시즌에는 17위로 2부 리그로 강등되었고, 2011년 부채로 인해 리그 등록 라이선스를 취득하지 못해 결국 소멸되었다.
2. 1. 초기 (1954-2002)
우르지체니 최초의 스포츠 클럽은 "이알로미차"라는 농구 클럽이었다. 오보르에 임시로 마련된 경기장에서 축구팀 "이알로미차"는 플로이에슈티, 부저우, 슬로보지아의 팀들과 경기를 했다. 또한 지역 호수 주변에 정착한 독일인들과 많은 경기를 했는데, 여기서 "라 네므치"("독일인들에게")라는 이름을 따왔다.1976년에는 새로운 경기장인 티네레툴루이가 개장했다.
1988년, 클럽은 쿠파 로미니에이 16강에 진출했지만, 코르비눌 후네도아라에 3-1로 패했다.
2002-03 시즌 말에 리가 II로 승격되기 전까지, 클럽은 루마니아 축구 리그 시스템의 하위 리그에서, 주로 디비지아 C와 디비지아 D에서 선수 생활을 했다.
2. 2. 성장과 전성기 (2002-2010)
우니레아 우르지체니는 1988년 쿠파 로미니에이 16강에 진출했지만, 코르비눌 후네도아라에 3-1로 패했다. 2002-03 시즌 리가 III 우승을 통해 리가 II로 승격했고, 2003년 발라호룸에 인수되었다. 2005-06 시즌 리가 II 준우승을 차지하며 스타디우눌 나치오날에서 플레이오프를 거쳐 역사상 처음으로 리가 I으로 승격했다.2006-07 시즌 10위, 리가 I 2007–08 시즌 7위를 기록하며 성장세를 보였고, 특히 2007-08 시즌에는 루마니아 컵 결승에 진출했다. 감독 단 페트레스쿠는 팀에 "이알로미차의 첼시"라는 별명을 붙였다.
2009-10 시즌 챔피언스리그 조별 리그에서 8점을 얻어 3위를 기록했다. 글래스고에서 레인저스를 4-1로, 부쿠레슈티에서 세비야를 1-0으로 꺾었으며, 부쿠레슈티에서 VfB 슈투트가르트와 레인저스를 상대로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2009-10 유로파 리그 토너먼트에서는 리버풀에 패했다.


2. 2. 1. 2008-09 시즌 리가 I 우승
우니레아 우르지체니는 2008-09 시즌에 티미쇼아라를 2-1로 꺾고[2] 구단 역사상 처음으로 리그에서 우승하여 챔피언스 리그 진출권을 획득했다. 당시 감독이자 전 첼시 선수였던 단 페트레스쿠는 팀에 "이알로미차의 첼시"라는 별명을 붙였다.2. 2. 2. UEFA 챔피언스리그와 유로파리그 진출
2008-09 시즌, UEFA컵에 처음 출전했지만 1회전에서 함부르크에 패했다.[2] 해당 시즌에 구단 역사상 처음으로 리그에서 우승하면서 챔피언스 리그에 진출했다.2009–10 UEFA 챔피언스 리그 조별 리그에서는 세비야, VfB 슈투트가르트, 레인저스와 같은 조에 편성되었다. 2009년 9월 17일 원정으로 치러진 1차전에서 세비야에 0-2로 패했다. 9월 29일에 열린 슈투트가르트와의 경기에서는 5분에 선제골을 내줬지만, 48분에 다치안 바르가가 동점골을 터뜨리며 승점 1점을 획득했다. 10월 20일 3차전 레인저스와의 경기에서는 자책골로 선제골을 허용했지만, 상대 자책골 2골을 포함해 4-1로 대승을 거두었다. 4차전 레인저스와의 경기에서는 경기 종료 직전 마우리스 오노프라슈가 동점골을 넣어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5차전 세비야와의 경기에서는 45분에 상대 수비수 이비차 드라구티노비치의 자책골로 1-0 승리를 거두었다. 6차전 슈투트가르트와의 경기에서는 1-3으로 패하며 조별 리그를 2승 2무 2패(8득점 8실점) 승점 8점으로 마무리하며 조 3위로 UEFA 유로파리그 출전권을 획득했다.[2]
2009–10 UEFA 유로파 리그 토너먼트에서는 리버풀과 대결하게 되었다. 1차전 안필드에서 0-1로 패했고, 부쿠레슈티에서 열린 2차전에서 1-3으로 패했다.
2009–10 시즌에 리그 2위를 기록하며 다시 UEFA 챔피언스 리그에 진출했다. 3차 예선에서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를 상대로 부쿠레슈티에서 0-0으로 비겼으나, 러시아에서 다니에게 결승골을 허용하며 0-1로 패했다. 유로파 리그 플레이오프 라운드에서는 하이두크 스플리트와 경기를 치렀다. 폴류드에서 열린 1차전에서 1-4로 패했고, 부쿠레슈티에서 1-1로 비겼다.
2. 3. 몰락과 해체 (2010-2011)
2010년, FC 우니레아 우르지체니는 쇠퇴하기 시작했다. 구단주였던 두미트루 부크사루는 지지 베칼리에게 빚을 갚기 위해 챔피언십 전반기에 거의 모든 선수를 매각했다.[2] 시즌 후반기에는 스테아우아 II 부쿠레슈티와 디나모 II 부쿠레슈티에서 임대 선수들을 데려왔지만, 결국 2010-11 시즌에 17위로 시즌을 마감하며 강등되었다. 우니레아는 리그 등록 라이선스를 갱신하지 못해, 결국 2011년에 해체되었다.3. 경기장
FC 우니레아 우르지체니는 7,000석 규모의 티네레툴루이에서 홈 경기를 치렀다. 1976년에 새로운 경기장인 티네레툴루이가 개장했다.[1]
UEFA 기준을 충족하지 못했기 때문에 UEFA 챔피언스리그 경기는 부쿠레슈티의 스테아우아 스타디움에서 치렀다.[1]
4. 클럽 문화
FC 우니레아 우르지체니는 단 페트레스쿠 감독과 관련된 별명, 첼시와 유사한 엠블럼을 가졌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단 페트레스쿠 감독 부임 후, 첼시의 팬이었던 그는 엠블럼 디자인을 크게 변경했다. ''Valahorum SA'' 스폰서 이름 대신 클럽 창립 연도인 1954년이 표시되었고, 디자인 또한 첼시의 엠블럼과 유사하게 수정되었다.
4. 1. 별명
FC 우니레아 우르지체니는 단 페트레스쿠 감독 재임 시절 주로 사용된 두 가지 별명을 가지고 있다.우니레아 우르지체니는 승격 이후 빠르게 우승 경쟁팀으로 성장하면서, 루마니아 언론으로부터 첼시와 비교되었다. 이는 첼시의 전 수비수였던 페트레스쿠 감독의 역할이 2003년 첼시에 대규모 투자를 시작하여 유럽 최고의 팀 중 하나로 만든 로만 아브라모비치와 유사하다고 여겨졌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이알로미차의 첼시'라는 별명이 붙었다.[1]
페트레스쿠 감독은 또한 '바러간의 늑대들'이라는 별명을 만들었다. 그는 훈련과 경기에서 선수들의 투지를 끌어올리기 위해 '늑대'라고 불렀다. 바러간은 우니레아 우르지체니가 위치한 바러간 평원을 의미한다.[1]
다만, 이 두 별명은 루마니아 언론에서 자주 사용되지는 않았으며, 대신 클럽의 연고지인 이알로미차 주를 따서 '이알로미체니'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았다.[1]
4. 2. 유니폼과 엠블럼
FC 우니레아 우르지체니의 유니폼 색상은 파란색과 흰색이었다. 하지만, "이알로미차니" 시절에는 주황색, 녹색, 검은색, 파란색 등 다양한 색상의 유니폼을 사용하기도 했다.[3] FC 우니레아 우르지체니의 유니폼 공급 업체는 스페인 회사인 조마였다.[3]클럽 엠블럼에는 권력을 상징하는 사자 머리가 있었다. 단 페트레스쿠 감독 부임 후, 첼시의 팬이었던 그는 엠블럼 디자인을 크게 변경했다. ''Valahorum SA'' 스폰서 이름 대신 클럽 창립 연도인 1954년이 표시되었고, 디자인 또한 첼시의 엠블럼과 유사하게 수정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팀은 ''이알로미차의 첼시'' 또는 ''우르지체니의 첼시''라는 별명을 얻게 되었다.
5. 역대 성적
시즌 | 리그 |
---|---|
2002–03 | 디비지아 C |
2005–06 | 리가 Ⅱ (세리아 2) |
우니레아 우르지체니는 2002-03 시즌에 디비지아 C에서 리가 II로 승격되었다. 2005-06 시즌에는 리가 II 세리아 2에서 2위를 차지했고, 스타디우눌 나치오날에서 Forex 브라쇼브와 비호르 오라데아를 상대로 플레이오프를 치른 후 역사상 처음으로 리가 I으로 승격했다.
6. 선수
FC 우니레아 우르지체니에는 여러 선수들이 있었다.
6. 1. 주요 선수
선수 | 국적 | 포지션 | 우니레아 우르지체니에서의 기간 |
---|---|---|---|
보그단 스테레아 | GK | 2006-2008 | |
기에드리우스 아르라우스키스 | GK | 2008.1-2010 | |
파블로 브란단 | FW | 2007-2010 | |
엘신 메흐메도비치 | FW | 2007-2011 | |
제이콥 반스 | MF | 2008-2009 | |
히카르두 고메스 빌라나 | FW | 2006-2010 | |
두두 게오르게스쿠 | FW | 1987-1988 | |
마리우스 오노프라슈 | DF | 2006-2010 | |
마리우스 빌라슈코 | FW | 2007-2010 |
7. 감독
단 페트레스쿠는 2006년부터 2009년까지 FC 우니레아 우르지체니의 감독을 맡아 리가 I 우승,[2] UEFA 챔피언스 리그 진출 등 팀의 전성기를 이끌었다. "이알로미차의 첼시"라는 별명을 얻을 정도로 팀을 성공적으로 이끌었지만, 선수 보강 문제로 갈등을 겪다 사임했다.
7. 1. 역대 감독
감독 | 임기 |
---|---|
Dan Petrescu|단 페트레스쿠ro | 2006년 ~ 2009년 12월 |
Roni Levi|로니 레비he | 2009년 ~ 2010년 8월 |
에우젠 나에 (임시) | 2010년 8월 |
옥타비안 그리고레 | 2010년 9월 ~ 12월 |
마리안 파나 | 2011년 |
단 페트레스쿠 감독은 2006년부터 2009년까지 팀을 이끌며 리가 I 우승,[2] UEFA 챔피언스 리그 진출 등 FC 우니레아 우르지체니의 전성기를 이끌었다. "이알로미차의 첼시"라는 별명을 얻을 정도로 팀을 성공적으로 이끌었지만, 선수 보강 문제로 갈등을 겪다 사임했다.
참조
[1]
뉴스
Bucșaru a desființat oficial Unirea Urziceni!
http://www.prosport.[...]
Pro Sport
2011-06-27
[2]
뉴스
European roundup-Bordeaux clinch title, Betis down
http://in.reuters.co[...]
Reuters
2009-06-01
[3]
뉴스
Unirea Urziceni si-a prezentat noul echipament
http://www.ziare.com[...]
2008-09-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